|
■ 줄기세포 원천기술 확보 우선
핵심기술력 美와 3.5년차… 치료효과·안전성도 미미
■ 세계는 지금 실용화 경쟁
신약개발만 10년이상 걸려… 정부지원금 50%로 늘려야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가 성공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머지않아 좋은 소식이 들려올 것입니다."(존 거던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ㆍ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는 이미 상당한 경지에 올라서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실용화와 산업화에 상당히 진척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수다 도시오 일본 게이오대 교수)
외국 석학들은 우리의 줄기세포 연구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까지 오는 데에 우리의 줄기세포 연구는 적지 않은 고통의 기간을 보내야 했다.
2005년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으로 3~4년간 우리의 줄기세포 연구는 '암흑기'였다. 국제적 신뢰를 잃어 우리의 논문은 국제 학술지에 거의 실리지 못했다. 그럼에도 학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가시적인 연구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성체줄기(AS)세포 분야에서는 강경선 서울대 교수ㆍ오일환 가톨릭대 교수ㆍ손영숙 경희대 교수 등이, 배아줄기(ES)세포 분야에서는 정형민 CHA의대 교수ㆍ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ㆍ이상훈 한양대 교수 등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동욱 건국대 교수는 피부세포를 유도만능줄기(iPS)세포를 거치지 않고 신경세포를 직접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체세포를 AS세포로 직접 교차분화한 첫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줄기세포 연구는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미미하다는 평가다.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 논문은 지난 10년간(2001~2010년) 1,548건으로 세계 7위에 그쳤다. 체면치레는 했지만 미국(1만5,486건)의 10%, 일본(4,687건)의 33%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iPS세포 관련, 우리의 SCI 논문은 19편으로, 미국(332건)과 일본(110건)이 비해 각각 17분의 1, 6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질적으로도 '빅3'인 미국과 일본, 독일에 크게 못 미쳐 핵심 기술력에서는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과 3.5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11년 601억원이던 줄기세포 예산을 지난해 1,004억원, 올해는 1,007억원으로 크게 늘렸다. 지난해의 경우 기초연구에 70%, 실용화에 30%를 지원했다. 또한, 줄기세포 연구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부처별로 역할 분담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치료제 시설 등 인프라 구축에, 보건복지부는 임상시험 등 실용화 지원에,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연구 지원에 집중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현재 3상으로 진행되는 ES세포 임상시험을 줄여 조건부 임상으로 허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정부의 줄기세포 지원에 '선택과 집중'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초연구와 실용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좇다가 하나도 제대로 잡지 못한다는 것이다.
학계와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기초연구가 먼저냐, 실용화가 먼저냐'를 놓고 견해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우선 학계를 중심으로 줄기세포가 잠재력이 큰 분야이지만 연구역사가 짧아 아직도 기초연구를 통한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가 우선이며, 성급한 실용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줄기세포 기술이 아직 제대로 확보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오일환 가톨릭대 의대 교수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유의미한 치료효과가 입증된 줄기세포 기술이 부족하다"며 "유효성은 물론 안전성이 입증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현재 2~3%의 치료 효과밖에 거두지 못하고 있는 줄기세포 연구의 돌파구를 열기 위해서라도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인현 예일대 의대 교수도 "줄기세포 연구가 한계에 부딪칠 때에 원천기술에서 해법을 찾을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 연구자는 "우리나라에서 줄기세포 특허는 많이 나왔지만 핵심적인 특허보다는 특허를 위한 특허가 적지 않은 실정"이라며 "다른 연구를 따라가는 추격형 기술개발보다는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관련 업계에서는 기초연구에만 치중하다 보면 실용화라는 세계 조류에 뒤처질 수 밖에 없다며 줄기세포 치료제의 허가와 심사 규정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형민 차바이오앤디오스텍 대표(CHA의대 교수)는 "선진국이 대부분 연구에 전폭적 지원과 규제완화를 통해 조속한 실용화에 나서고 있다"며 "실용화 촉진을 위해 허가와 심사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현재 줄기세포 치료제는 의약품에 해당돼 전(前)임상과 3상 임상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치료제 허가를 받을 수 있어 신약 개발에만 10년 이상 걸린다"며 "따라서 난치병 질환자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도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도 중요하지만 그 못지 않게 실용화를 위한 지원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며 "현재 정부 지원의 70%가 기초연구에 편중돼 있어 적어도 50% 가량은 실용화에 투입돼야 한다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줄기세포 기술의 모습이라 합니다
|